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 대선 이후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한국 경제가 다른 나라들보다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의 특성이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과 세계 시장에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IMF 아시아·태평양 부국장인 토마스 헤블링은 “미중 무역 갈등 고조가 한국에 주요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국이 미국과 중국 양국에 강하게 노출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경제, 내수는 회복세지만 성장률 전망 하락
IMF는 한국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올해 2.5%에서 내년 2.2%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러한 성장률 하락의 원인은 주로 수출 부진에 기인하며, IMF는 내수가 강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에서의 약세가 전체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읽어보세요: 글로벌 10년 박스 시장 규모는 2023년에 27억 달러였으며, 이 보고서는 2024-2030년 시장 성장, 추세, 기회 및 예측을 다룹니다.
IMF는 또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을 완화하고 있어 경제 상황이 다소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헤블링 부국장은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실질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내수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하며, 실제로 3분기 내수가 예상대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습니다.
미중 갈등의 구체적인 변수들… 세부 조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중 무역 갈등의 구체적인 세부 조치들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 대해 어떤 무역 조치를 취할지에 따라 한국의 수출 산업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IMF는 무역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예측하기 어렵다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전망을 내놓지는 않았습니다.
IMF, 중국에 내수 중심 경제로의 전환 촉구
한편,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별도의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 경제가 내수 활성화를 통해 성장 동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중국 경제가 현재 수출 주도 성장과 내수 중심의 두 갈래 길에 서 있다며, 앞으로 중국이 내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경제 구조를 전환하는 것이 더 신뢰성 있는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또한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가 소비자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잠재 성장률이 4%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IMF의 이러한 경고는 한국과 중국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반에 미중 무역 갈등이 미칠 수 있는 광범위한 영향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More Stories
2025년부터 2032년까지 발라시클로비르 경구 시장 규모
아시클로버 약물 시장 풍경, 2025년부터 2032년까지 예측 데이터를 통한 최고 경쟁사 분석, 수익, 판매
2025년부터 2032년까지 워터 디스틸러 시장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