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1월 2025

트럼프 발 강달러가 돌아왔다…환율 1380원대까지 상승

트럼프 발 강달러가 돌아왔다…환율 1380원대까지 상승

서울, 2024년 10월 22일 – 원·달러 환율이 22일 장 초반에 큰 폭으로 상승하며 1380원선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 7월 말 이후 최고 수준으로, 중동 정세 악화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달러화 강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환율 현황

이날 오전 9시 10분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6.9원 오른 1382.1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은 3.9원 오른 1379.1원에 개장한 이후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80원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 7월 31일(장중 최고 1384.7원) 이후 처음으로, 이달 초에는 1300원대 초반에서 거래되던 환율이 급등하며 1400원선에 가까워지고 있다.

또한 읽어보세요: 랜덤 액세스 메모리 시장 규모는 11.20%의 CAGR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 보고서는 유형, 세분화, 성장 및 2024-2030년 예측에 따른 분석을 다룹니다.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강달러의 상관관계

최근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간의 군사 충돌이 심화되며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헤즈볼라의 군사 거점과 금융 기관을 타격하며 공격을 강화하고 있고, 헤즈볼라도 보복으로 로켓을 발사하는 등 사태가 더욱 악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안전자산 선호를 높여 원화 가치를 약세로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북한이 러시아에 특수부대를 파견하는 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도 원화 약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이 결합하여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제와 환율 상승

미국 경제의 호조 또한 강달러 현상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9월 소매 판매는 7144억 달러로, 전달 대비 0.4% 증가하며 시장의 예상치인 0.3% 증가를 웃도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미국 경기 낙관론이 강화되면서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강세가 나타났다”며 “아시아 통화 중에서도 특히 원화의 가치가 추가로 하락할 여지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금융시장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 대선 공화당 후보로서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트럼프 트레이드’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될 경우 대규모 국채 발행과 관세 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심화가 예상되며, 이는 원·달러 환율에 추가적인 상승 압력을 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달러 인덱스(DXY)도 103.909로 올라서 104에 근접하고 있다. 달러 인덱스는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달러화의 강세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 관계자들이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달러 강세에 힘을 보탰다.

전문가의 분석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환율 상승이 국내 펀더멘털 취약성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미국발 불확실성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환율 수준 자체가 국내 금융시장에 큰 악재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약이 상당 부분 국채 금리에 선반영되어 있으며, 미국 중앙은행(Fed)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할 때 미국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는 연말로 갈수록 점차 하향 안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엔화 환율 동향

이날 오전 9시 1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18.03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19.84원)보다 1.81원 내렸다. 원·엔 환율도 국제적인 경제 동향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결론

최근 원·달러 환율의 급등은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미국 경제의 호조, 그리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향후 환율 동향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